• 도서분류
• 도서소개
• 저자소개
• 목차
• 관련도서
현재위치
Home > 상품정보
[국내헌책] 평등 자유 권리 - 사회 정의의 기초를 묻다 (양장본)
이종훈 지음 | 책세상 펴냄
 

ㆍ정가 35,000
ㆍ판매가 14,500 원 (58.57%, 20,500 원 할인)
ㆍ적립금 0 원 (0% 적립)
ㆍ출간일 : 2011 년 8 월 5 일
ㆍ807 쪽 | | ISBN : 9788970137957
ㆍ1만원 이상 주문시 무료배송
ㆍ도서상태 : 헌책(상태양호)
추천메일 독자서평쓰기
사회과학사회학사회사/사회문화
자유와 평등이란 무엇이며, 개인과 국가는 이들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자유와 평등의 관계, 자유와 평등에 대한 권리를 밝히고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의 원칙을 세운 책 『평등, 자유, 권리: 사회 정의의 기초를 묻다』.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종은 박사의 책으로 정치사상의 핵심 주제인 평등·자유·권리의 개념과 이들 사이의 관계를 다룬 저작이다. 평등·자유·권리라는 이념이 선이 의미하는 바를 어떻게 구현하는 것이 올바른가라는 문제를 탐색하고 자유지상주의와 공화주의의 입장을 대비시키며 균형 있게 논하고 있다. 서양에서 발원한 평등·자유·권리의 개념을 넘어서 한국의 역사와 우리의 현실을 감안하여 그 맥락을 타고 들어가 평등·자유·권리의 의미와 관계를 체계적으로 조명한다.

이종은

저자 : 이종은
저자 이종은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거쳐 같은 대학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켄트 주립대학교에서〈플라톤, 홉스 그리고 롤스에 있어서 정치적인 의무라는 개념과 그 개념의 상대성THE CONCEPT OF POLITICAL OBLIGATION AND ITS CONCEPTUAL RELATIVITY IN PLATO, HOBBES AND RAWLS〉이라는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의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 독일의 튀빙겐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모스크바의 국제관계 및 세계경제 연구소, 일본의 법정 대학교와 오카야마 대학교에서 객원 연구원을 역임했고 현재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정치철학》,《정치와 윤리―정치권력의 도덕적 정당성에 대한 탐구》, 역서로는《현대정치이론》,《현대정치이론의 이해》등이 있으며,〈일본에서의 개인〉등 정치사상에 대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들어가는 말 

제1장 불평등에서 평등으로 

1. 불평등이라는 원칙 
2. 평등이라는 원칙 
(1) 고전적 근원 
그리스 시대 
스토아학파 
로마법 
예수의 복음 
(2) 중세 
(3) 근대에서의 평등의 부활 
근대 시민 혁명과 자유주의 
시민적 공화주의 
민주주의적 평등 
사회주의적 평등 
(4) 현대의 평등 
자본주의와 평등 
지구적 평등 
누구에게 평등 
평등에 대한 관심 

제2장 평등 

1. 평등의 본질과 가치 
(1) 교육의 평준화 
(2) 형식적 이론과 실질적 이론 
(3) 평등의 대상에 가치를 가져다주는 속성 
2. 평등에 대한 이론 
(1) 모든 이에게 평등한 몫 
(2) 평등한 자에게 평등한 몫 
(3) 상당히 큰 집단에 평등한 몫 
(4) 비례적 평등 
(5) 각자에게 응분에 따라 
(6) 타당한 차이에 상응하는 불평등한 배분 
(7) 정의롭지만 불평등한 배분 
(8) 절차적 평등 
3. 선으로서의 평등 
(1) 평등의 대상 
(2) 본질적 선과 수단적 선 
(3) 평등의 달성 방법 

제3장 자유 

1. 자유에 대한 관념 
(1) 고대 
(2) 중세 
(3) 근대 
(4) 사회주의 
(5) 권위주의 
(6) 현대의 자유 
소극적 자유의 적극적 자유 
단일 개념 
자유의 가치 
2. 공화주의적 자유 
(1) 공화주의의 전개 
고전적 공화주의 이론 
중세와 르네상스 
근대 공화주의 사상 
미국의 경험과 새로운 공화주의 
20세기의 공화주의 
(2) 제3의 자유 
공화주의와 소극적 자유 
비지배로서의 자유 
3. 자유와 권력 
(1)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 
(2) 국가와 위해 원칙 
(3) 자유와 국가 개입의 한계 
자유의 한계 
국가 개입의 한계 
(4) 자유주의의 정당화 
(5) 공화주의 
4. 자유와 책임 
(1) 자유 의지론과 결정론 
인과적 설명 가능성 
불가피성 
(2) 자유와 책임 
자유와 도덕적 책임 
공동체주의와 일본인의 책임 
(3) 자유에 대한 사회적 제약 

...(하략)

현재 평등 자유 권리 - 사회 정의의 기초를 묻다 (양장본)에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elite2000/30 782FE6A8FD7846CE86BBB32B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