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자료, 파천황적인 테마, 위대한 모럴리스트인 저자의 정신과 사상에 의하여 만들어진 이 책은 인류의 지적 자산으로 평가되고 있다. 저자 자신은 이 <풍속의 역사>에 의하여 그의 문명사가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했다. 이 책은 그 어떠한 역사서보다도 참으로 "살아 있는"역사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870-1940. 독일의 풍속사 연구가, 문명사가, 미술수집가.
1870년에 태어난 푹스는 슈트르가르트의 한 인쇄업소에서 경리직원으로 일하다가 1887년경에 사회민주당의 바이에른 지방 기관지 <뮌헨 포스트>의 기자로 발탁되어 뮌헨에 간다. 푹스는 그곳에서 리하르트 칼버와 일하면서 <뮌헨 포스트>의 풍자잡지 <남부 독일 포스틸론> 간행에 임시지원 형식으로 참여한다. 우연히 푹스가 <포스틸론>의 한 호를 맡아 편집한 것이 6만 부라는 이례적인 성공을 거두어 이후 그는 정치적 풍자를 전문으로 하는 잡지의 편집인이 되었고 이와 병행하여 군소 삽화가들의 흔적을 꾸준히 연구하는 사가로 일련의 저서를 발표했는데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삽화가 곁들인 중세에서 현재까지의 풍속의 역사 전3권(1910-12), 에로틱 미술의 역사 전2권(1908-10), 유럽민족의 캐리커처 전2권(1901-1903), 오노레 도미에, 목판화와 석판화 전4권(1918-22), 화가 도미에(1925), 에로틱의 대가들, 예술에서의 창조적인 것의 문제에 대하여, 회화와 조각(1931), 이밖에도 푹스는 당나라 시대의 조형과 예술, 여자 유대인 및 세계대전을 주제로 한 캐리커처도 특집으로 엮어냈다.
[1] 모럴의 기원과 본질
1. 일부일처제의 기원과 그 토대
2. 성 모럴의 여러 가지 변화
3. 변혁의 법칙
4. 미래의 전망
5. 이 책의 분류에 대하여
[2] 르네상스의 본질
[3] 색의 시대 - 역사와 본질
1. 중앙집권의 발달
2. 절대주의의 비용
3. 신민근성
4. 사회적 허위
5. 갈랑트리
[4] 부르주아의 시대 - 역사와 본질
1. 부르주아 지배 사회의 초기
2. 관념과 실천
3. 위선
- 부록1 : 수집가와 역사가로서의 푹스
- 부록2 : 문명사가로서의 푹스
색의 시대 - 역사와 본질
여자는 삶의 그 오직 하나의 목적을 끊임없이 특히 뛰어난 기교로 성취해야 한다는 사실을 언어, 행동, 의상, 기지, 놀이, 곧 자기의 정신과 육체를 모두 동원해서라도 보여주어야 했다. 여자는 자신의 공상은 모두 육욕으로 물들어져 있고 자신은 항상 욕육에만 쏠려 있으며 스스로 육욕의 기회를 언제나 탐하고 있다는 것을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했다. 여자는 어떤 경우에나 그것에 어울리는 포즈를 취해야 했다. 왜냐하면 사랑 또한 연기이며 공개적인 연극이므로 수많은 관객이 지켜보는 무대 위에서 실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시대에는 육감적인 여자, 끊임없이 쾌락을 좇고 사랑의 향응만을 꿈꾸는 여자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고 가장 인기 있는 여자가 되었다. 사람들은 "고혹적인 자극과 호색"을 추구했다. 화가는 그 부류의 여자를 여러 가지 모습으로 그렸고, 갈랑트리한 시인도 그 부류의 여자들을 열광적으로 찬미했다. 볼에는 "쾌락의 장미"가 피고 "융기한 유방이 출렁이는" 몸도 마음도 불태우는 "은밀한 정열이 내비치는" 여자의 아름다움처럼 이 세상에서 놀라운 것은 없었던 것이다. 물론 남자도 역시 같은 방향으로 그녀들에게 열중해야만 했다. 왜냐하면 여자의 행동은 남자의 행동에 대한 메아리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남자는 여자, 곧 그 쾌락의 가장 귀중한 도구를 받들었다. 남자는 그 도구를 받듦으로써 여자로부터 하나의 우상을 조형했고, 그것을 삶의 유일신으로까지 받들었다. 그것은 말과 행동에 의해서 간단없이 계속된 제 분수를 잃은 숭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