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자료, 파천황적인 테마, 위대한 모럴리스트인 저자의 정신과 사상에 의하여 만들어진 이 책은 인류의 지적 자산으로 평가되고 있다. 저자 자신은 이 <풍속의 역사>에 의하여 그의 문명사가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했다. 이 책은 그 어떠한 역사서보다도 참으로 "살아 있는"역사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870-1940. 독일의 풍속사 연구가, 문명사가, 미술수집가.
1870년에 태어난 푹스는 슈트르가르트의 한 인쇄업소에서 경리직원으로 일하다가 1887년경에 사회민주당의 바이에른 지방 기관지 <뮌헨 포스트>의 기자로 발탁되어 뮌헨에 간다. 푹스는 그곳에서 리하르트 칼버와 일하면서 <뮌헨 포스트>의 풍자잡지 <남부 독일 포스틸론> 간행에 임시지원 형식으로 참여한다. 우연히 푹스가 <포스틸론>의 한 호를 맡아 편집한 것이 6만 부라는 이례적인 성공을 거두어 이후 그는 정치적 풍자를 전문으로 하는 잡지의 편집인이 되었고 이와 병행하여 군소 삽화가들의 흔적을 꾸준히 연구하는 사가로 일련의 저서를 발표했는데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삽화가 곁들인 중세에서 현재까지의 풍속의 역사 전3권(1910-12), 에로틱 미술의 역사 전2권(1908-10), 유럽민족의 캐리커처 전2권(1901-1903), 오노레 도미에, 목판화와 석판화 전4권(1918-22), 화가 도미에(1925), 에로틱의 대가들, 예술에서의 창조적인 것의 문제에 대하여, 회화와 조각(1931), 이밖에도 푹스는 당나라 시대의 조형과 예술, 여자 유대인 및 세계대전을 주제로 한 캐리커처도 특집으로 엮어냈다.
[1] 새로운 아담과 이브
1. 절대주의의 이상적인 미
2. 여자의 은밀한 아름다움에 대한 숭배
3. 남녀의 육체상
부부 상호간의 관대함은 사회에서도 대부분의 경우 서로의 부정을 대담하게 눈감아주는 데로까지 나아갔다. 그리고 부부 중 어느 한쪽은 종종 타인의 공공연한 애인이었다. 남편은 아내가 자신의 친구들과 자유롭게 교제하는 것을 눈감아주었고 게다가 아내가 관심을 둔 친구를 아내를 위해서 일부러 집으로 끌고 왔다. 마담 데피네의 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아내가 남편의 친구를 애인으로 삼는 것은 남편의 마음에 드는 "단 하나의 수단"이 되기도 했다. 아내도 동일한 방법을 남편에게 썼다. 아내는 남편이 손에 넣고 싶어하는 여자들을 자신의 친구로 만들어 남편이 가능한 한 확실하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일부러 조성해주었다. "어떤 귀부인이 한 여자친구의 남편과 함께 있는 곳을 그 여자친구에게 불시에 습격당했다. 귀부인은 그 여자친구에게 변명하여 가로되 너의 신뢰를 저버릴 뜻은 조금도 없었다고 다짐했다. 그러나 그 여자친구는 그녀의 목을 얼싸안고 상대의 행복에 대해서 치하의 말을 늘어놓았다." 이러한 일은 흔해빠진 일이었다고 그 시대의 사람들은 말했다. 그리고 어떤 사람은 그것을 풍자적인 의미로 말하지만 어떤 사람은 "그것이 과연 서로의 행복을 위한 바람직한 보증일까"라는 의문을 진지하게 제기했다. 어떤 남편에게도 아내보다는 친구의 아내가 훨씬 마음에 들었기 때문에 부부가 모두 단기간일망정 상대를 간절히 바꾸고 싶어했다. 그 시대에 쓰여진 편지에는 그러한 계획을 성공시키기 위한 제안이나 기록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1760년 빈의 어떤 귀부인이 애인에게 프랑스어로 써보낸 편지에 이러한 구절이 있다.